책과 도서관 이야기(자유게시판)

초역 명상록을 읽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각주, 2025.

도서관돌이 2025. 7. 1. 00:18

명상록은 로마의 최전성기를 이끈 다섯 황제(오현제)에 포함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지은 책이다.

그는 후기 스토아 학파의 주요인물이기도 한데

기원전 3세기에 나타난 

초기 스토아철학은 논리/물리/윤리학 분야를 체계화하고

중기 스토아철학은 실용적 윤리 철학으로 전환시켰으며

이후 아우렐리우스에 이르러서는 인간의 내면 수양과 윤리적 삶에 집중하는 쪽으로 변화한다.

 

스토아철학의 본질은 쉽게 말해 감정에 휘들리지 않는 내면의 단련에 대한 것이라고 한다.

통제불가능한 외부 환경에 휘둘리지 말고 오직 자신의 가치관과 선택과 태도에 집중하라는 것이다.

 

이쯤이면 명상록이 어떤 관점에서 쓰였는지 이해될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은 그냥 명상록이 아니라

초역 명상록이다. 초역은 원문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뽑아 번역한 것을 말한다.

 

원래 명상록은 12권에 걸쳐 여러장을 나열한 것이지만

필로소피랩이 엮은 본책에서는

원전의 순서나 틀을 벗어나 엮은이의 주관적인 편집과 해설이 들어갔으므로

평역 명상록이기도 하다.

 

명상록에 등장하는 여러 장을 발췌해서

다음과 같이 총 여덟가지 주제 속에 배분해서 

--------------

감정다스리기/타인에게 흔들리지 않기/가진 것에 만족하기/지금을 충실히 살기/생각행동 바르게 하기/공동체로 살기/자연질서 수용하기/죽음 두려워 않기

--------------

제목 

원전 번역

현대적 해설 순으로 채워 한쪽씩 읽도록 하고 있다.

 

무려 2000년이 흘렀지만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은 전혀 흔들림 없는 깨우침을 준다.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인간이란 명상록 같은 말을 주워삼키며 끊임없이 자기각성하지 않고는 살 수 없는 존재인 걸까.

 

괴로워하고 번뇌해야하고 또한 이를 죽을 때까지 극복해야하는 숙제를 안게 된 

이유는 당연일까 우연일까...

비로소 인간으로 태어난 것이 일종의 벌일 수 있음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