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도서관 한책읽기

한책읽기 독서회 43차 토론 논제

도서관돌이 2017. 5. 23. 18:55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_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_창비


*실제 토론에서 다룬 논제는 빨간 글씨 처리하였습니다.



1. 책 읽은 소감을 자유롭게 나눠보세요. 먼저 책에 1점부터 5점까지 별점을 주고 별점을 준 이유도 설명해주세요.

별점(1~5)

이현정 ★★★ 깊이감은 없다. 한국 상황과 맞지 않는 부분도 있어 주제의식을 온전히 전달받지 못해 아쉽다.

허미숙 ★★ 강연에 어울리는 말을 책으로 읽자니 지루했다. 말할거리와 생각할거리를 준 점은 높이 산다.

박선화 ★★★★★ 일상에 침범한 성적 부당성을 쉬운 언어와 사례로 고발해주고 있는 훌륭한 여성주의 책이다.

읽은 소감

 

 

2. 나이지리아 출신으로 미국과 고국을 오가며 활동하는 소설가가 남성성과 여성성의 차별 없는 공존을 주장하는 2012TED×Euston 강연을 엮은 책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페미니즘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자유롭게 이야기해보세요.

*사전에는 어떤 식으로 정의되어 있을지를 떠올리며 모범답안을 찾지 말고 본인이 생각하고 있는 바를 이야기해주세요.

 

3. 모든 성별이 사회적/정치적/경제적으로 평등하지 않다는 문제의식에 입각해 쓴 책입니다. 저자의 문제의식에 동의하나요? 만약 동의한다면 오늘날 남성과 여성이 평등하지 않은 이유는 왜일까요?

 

4. 저자는 여성성의 불합리한 대우가 고착된 현실을 이야기하는데요. 페미니즘 외 한국에서 정상 행세를 하고 있는 비정상적인 관습, 제도, 체제 중에 여러분이 주목하는 것이 있다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세요.

우리가 어떤 일을 거듭 반복하면 결국 그 일이 정상이 됩니다. 우리가 어떤 일을 거듭 목격하면 결국 그 일이 정상이 됩니다. 16

 

5.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 생물적·심리적·경제적 운명이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여성적이란 말로 표현되는, 남성과 고자의 중간에 위치한 여성이란 존재를 만드는 것은 그들이 속한 총체적 문화 바로 그것이다. " -2의 성()

시몬드 보봐르는 1949년에 출간한 <2의 성>에서 남녀 모두가 당연시 여겼던 여성성의 정체성을 정면으로 의심했습니다. 여러분은 시몬드 보봐르의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유롭게 이야기해보세요.

 

6. 우리 사회에서 남성(주로 젊은이)들이 성평등을 주장하는 페미니즘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 없는 대표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남녀 사이 연애 비용 부담 문제 결혼 시 경제적 부담 비율 국방의 의무. 남녀시각차를 가장 첨예하고 드러내주는 위와 같은 사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이야기해보세요.

 

7. 책에는 학자이자 작가인 자넬 홉슨과 나눈 어떤 잡지에서의 인터뷰가 같이 실려있습니다. 인터뷰에서 저자는 다음과 같은 질문은 받습니다. 여러분도 78쪽의 같은 질문을 받는다면....‘한국 여성들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8. 오늘 토론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말을 소개해주세요.

 

9. 책을 읽은 후 나의 삶에 적용할 실천사항을 이야기해주세요.